본문 바로가기
너도 가능 가상악기 synth vst

U he DIVA vst 가상악기 디바 그 다섯번째 시간

by 월드 크루저 2022. 11. 9.

 디바의 소리를 듣고 시작하겠습니다.

 

 드럼과 베이스는 다른 악기이다. 갈수록 샘플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디바 소리에 집중하시기 바란다. 창작의 고통 때문에 그렇다.

 

 튜닝 패널이다. 메인탭에서만 보인다. 디바의 중앙 하단은 탭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된다.

 비브라토 vibrato는 일반적인 피치 비브라토이다. 보통 비브라토라고 하면 피치, 볼륨, 팬 이렇게 세가지 비브라토가 있다. 바이올린 같은 찰현악기의 경우 다 피치 비브라토이지만 기타 이팩터의 경우 볼륨 비브라토이다. 피치 비브라토는 손으로 하기 때문이다.

 글라이드 glide는 기본적인 포르타멘토의 시간을 설정한다. 

 글라이드2 glide2는 VCO2와 VCO3에 적용되는 포르타멘토이다.

 레인지 range는 포르타멘토의 강도이다. 낮은 값에서는 타겟이 되는 노트와 가까운 값에서 포르타멘토를 시작하고 높은 값에서는 출발 노트와 가까운 값에서 포르타멘토를 시작한다.

 파인 fine은 1센트cent 즉, 1/100 반음 semitone단위로 피치를 조절한다.

 트랜스포즈 transpose는 반음 단위로 피치를 조절한다.

 업&다운 up&down은 피치벤드의 피치 조절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마이크로튜닝 microtuning은 미리 설정된 피치 설정값을 불러올 수 있다. 

 

 앰프와 팬 패널 역시 메인탭에서만 보인다.

좌측에 VCA라는 글씨가 보인다

 VCA창에서는 앰프레레벨이 엔벨로프를 따를 것인지 게이트를 따를 것인지 고를 수 있다.

 Volume은 게인 gain 컨트롤이다. 높은 값으로 올릴 경우 가상 아날로그 신스 analogue synth vst답게 새처레이션이 된다.

 Vol Mod는 게인 모듈레이션 modulation의 양을 정할 수 있다. 좌측 창에서 모듈레이션 소스를 고를 수 있다.

 Pan은 소리의 좌우 성향을 결정한다.

 Pan Mod는 Vol Mod와 마찬가지로 Pan의 모듈레이션 양을 정할 수 있다. 우측 창에서 모듈레이션 소스를 고를 수 있다.

 

 다음은 보이스 패널이다.

 모드 Mode는 폴리, 모노, 레가토, 듀오, 폴리2 가 있다.

 폴리poly는 말그대로 다중음 동시발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모노mono는 한 번에 한 음만 발현하게 한다.

 레가토legato는 다른 가상악기들과 마찬가지로 노트의 피치가 변할 때 어택attack과 디케이decay를 거치지 않고 넘어가게 해준다.

 듀오duo는 보이스를 두 개로 나누어 발현한다. 무슨 얘기냐면 VCO1이 낮은 노트, VCO2가 높은 노트를 연주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폴리2 poly2는 폴리poly랑 비슷한데 릴리즈release가 뒤에 이어지는 노트에 의해 삭제된다. 연이은 노트가 나오면 릴리즈release를 없애서 깔끔하게 만들어준다는 이야기이다.

 

 노드 우선순위 Note priority는 하나의 노트가 끝나기 전에 다른 노트가 입력될 경우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에 관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위 사진의 Voices에 보면 6이라고 써있는데 이게 동시 발현가능음이다.

 라스트last는 마지막에 입력된 노트를 우선 연주하는 것이다. 위 사진의 경우 동시발현음이 이미 6개가 있는데 7번째의 노트가 입력될 경우 이 노트가 우선순위를 가져가면서 맨 처음 입력된 노트의 소리가 나지 않게된다.

 로스트 lowest는 가장 낮은 음이 우선순위를 가져가는 것이다.

 하이스트 highst는 가장 높은 음이 우선순위를 가져가는 것이다.

 

 어큐러시 Accuracy는 간단하게 말하면 음의 해상도이다. draft에서 divine으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CPU로드가 증가한다. 대부분의 경우 great으로 충분하다. 음원 출시에도 great만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Offline Acc는 오디오 렌더링 즉, wav나 mp3로 출력할 때의 해상도이다. 실시간 연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원 출력할 때 best로 바꾸면 된다.

 

 Voices는 말그대로 동시발현음의 개수이다.

 

 Stack은 유니즌 보이스의 개수이다. 유니즌은 쉽게 말하면 일렬종대로 음을 복사해서 음을 두껍게 하는 것이다. 보통 디튠detune과 같이 사용해서 공간감을 주거나 자연스러움을 더할 때 사용한다.

 

 클럭&아르페지에이터 Clock & Arpeggiator

 클럭clock은 아르페지에이터의 노트 빠르기를 결정하는 패널이다. 기본적으로 디바DIVA는 호스트daw의 bpm에 sync되어있다. 

 곱하기multiply는 0.5부터 2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아르페지에이터의 노트간격을 조절해준다.

 스윙swing은 셋잇단음표triplet부터 부점dotted note or strongest shuffle까지 노트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아르페지에이터 arpeggiator패널은 말그대로 아르페지에이터이다.

 Mode는 총 6가지가 있다.

 played는 노트가 입력된 순서 혹은 건반을 누른 순서대로 아르페지에이터가 작동한다.

 up은 낮은음부터 높은음으로 순차적으로 연주한다.

 down은 높은음부터 낮은음으로 가면서 연주한다.

 up+dn1은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연주한다.

 up+dn2는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연주하는데 제일 높은음에 다다러서 한번 더 그 노트를 연주하고 제일 낮은음에 다다러서도 한번 더 그 노트를 연주한다.

 random은 랜덤이다.

 

 Progression은 아르페지에이터의 옥타브 설정이다.

 serial은 입력된 노트를 모두 연주하고 한옥타브 혹은 그 이상의 옥타브 이상으로 아르페지에이터를 확장하는 것이다. 우측의 Octaves에서 얼마나 옥타브 확장을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round는 serial과 같지만 옥타브를 아래로도 확장하는 것이다. serial은 위로만 확장한다.

 leap은 한 노트를 연주하고 다음 노트를 한 옥타브 위에서 아르페지에이팅 하는 것이다. 옥타브를 더 확장하고 싶으면 우측 Octaves에서 설정할 수 있다.

 repeat은 leap과 유사하나 다음노트가 아닌 해당 노트를 한 옥타브 위에서 연주하고 다음노트를 연주하는 것이다.

 

 restart는 아르페지에이터의 반복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none에서부터 32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바로 위 문단에서 설정한 모드mode와 프로그레션progression에 따라 몇 개의 노트를 연주하고 반복할 것인지 정하는 것이다.

 

 다음 포스트가 U he 사의 아날로그 신스 디바 Analog synth vst DIVA의 마지막 포스팅이 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