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포스트에서 대강 넘어갔던 부분이 변조 방식과 페이즈모듈레이션 모듈(PM module), 트래커, VR까지 알아보겠다.
웨이브 테이블은 파형 팩이다. Serum 이후로는 256개에 한 팩인 게 국룰이 되었다. 제일 큰 노브로 256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쭉 훑으면서 만드는 게 글로벌 스탠다드이다.
왼쪽 ART라고 쓰여 있는 게 변조 방식인데 크게 총 10개의 변조 방식이 있지만 세부 명세까지 세면 못해도 수백개(안 세어봄)가 될 것이다. 그 옆 두 개의 노브가 변조의 변량을 조절하는 노브들이다.
변조방식을 간단히 알아보자.
1. 스탠다드모드 Standard mode: 말 그대로 기본모드. 필터가 하나 나오고 파형 페이즈를 고를 수 있다.
2. 벤드 Bend: 파형을 구부린다. 그 밑의 세부 명세 선택에서 위로 구부릴 건지 아래로 구부릴 건지 정할 수 있다.
3. 거울 Mirror: 파형 중간에다가 거울을 갖다 댄다. 노브로 거울을 파형 어디쯤 갖다 댈 건지 선택할 수 있다.
4. 하드씽크 Hardsync: 하드씽크 사운드이다. VST다보니 꼭 스퀘어파형이 아니라도 사용 가능하다. 오른쪽 노브를 돌리면 소리가 날카롭고 높아진다.
5. 랩 Wrap: 하드씽크랑 비슷한 소리가 난다. 하드씽크 약한 버전이다.
6. 포먼트 Formant: 파형에 있는 포먼트 정보를 더 잘 들리게 해준다. 그래서 정적(static)인 파형에서는 뭔지 알 수가 없을 것이다. 포먼트 폴더에 있는 웨이브 테이블을 갖다 써보면 바로 알 수 있다.
7. 아트 ART: Artifial resonance technology의 약자이다. 매뉴얼에 뭔가 복잡하게 쓰여 있지만 그냥 하드씽크랑 비슷한 소리가 난다. 노브를 좀 돌려보면 왜 덥스텝용 악기인지 알 수 있다.
8. 고릴라 Gorilla: 킹 캉 콩 세 가지 세부 모드를 더 지원하는데 역시 골라서 돌려보면 왜 덥스텝용 악기인지 알 수 있다.
9. 랜덤 Random: 말 그대로 랜덤이다.
10. 지터 Jitter: 떨다. 떤다. 위의 랜덤과 비슷하지만 좀 더 규칙적으로 떤다.
그다음은 위의 오실레이터 모듈에서 나온 파형을 다시 또 변조하는 PM(Phase modulation)이다. 변조의 변조를 위한 변조에 의한 Massive X이다.
PM1은 왼쪽의 파형으로 PM2는 오른쪽의 파형으로 위의 오실레이터에서 나온 파형에 곱하기를 하는데 양옆에 있는 숫자들로 곱하기의 숫자를 정할 수 있다. FM 방식이다. Aux는 Aux input(잘 모름)이다.
트래커라는게 있다.
이 패널에서는 마스터키보드(혹은 런치패드 기타 등등)에서 입력할 수 있는 정보(피치, 벨로시티 등)에 반응하는 모듈레이션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세게 누를수록 디스토션이 세게 걸린다던가 저음으로 갈수록 리버브를 적게 준다든가 하는 것들이다. 뒷배경의 알록달록한 게 피아노 건반이다.
고음으로 갈수록 게인을 줄여서 소리가 날카로워지는 걸 방지한다.
트래커는 대부분의 신스에 달린 기능이지만 쓸 일은 그렇게 많지는 않다. 세게 누르면 디스토션이 걸리게 한다던가, 레저넌스가 더 세게 먹히게 한다던가, 뭉툭한 소리를 유지하고 싶을 때 이런 경우에 사용하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VR이 있다. Virtual Reality가 아니고 Voice Randomization이다.
패널도 없고 아무런 옵션도 없고 그냥 저 아이콘 한 개가 끝이다. 그럼 어디다 사용하냐? 위상캔슬이 걸린다 싶으면 그냥 PHASE노브에 갖다 얹어도 되고 저렴한 CPU 비용으로 Round robin 효과를 내고 싶을 때 뭐 아무 데나 쓰고 싶은데 갖다 넣으면 된다.
이상으로 중요한 부분은 빠짐없이 다 훑어봤고 남은 건 숙련도 올리기 밖에 없는 것 같다.
NI의 승부수 Massive X는 예쁘고 소리 좋고, 무한한 변조 방식에 무한한 모듈레이션인 퍼포머, 거기다가 자본의 힘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이팩터까지 따라올 수 있는 악기가 몇 없다. 그냥 UI가 후졌을 뿐이다.
"매시브 X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계속 개발 중이라는 겁니다." NI의 이 한마디를 믿고 UI가 개선되길 기다리며 써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것이다.
'너도 가능 가상악기 synth v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만 알면 가상악기 신스 기초 배우는데 절반은 먹고 들어감 synth vst 기초 (1) | 2022.10.04 |
---|---|
에이블톤 라이브 구매 전 필독 후 구입 (1) | 2022.10.04 |
Massive X 현존 최강의 아르페지에이터 아니 퍼포머 most featured arpeggiator (0) | 2022.10.03 |
Massive X의 하이 퀄리티 이팩터와 유니즌 (0) | 2022.10.02 |
Massive X 의 샘플러, 아름다운 필터, 하이퀄리티 이팩터 (0) | 2022.10.01 |
댓글